티스토리 뷰

목차



    제 11호 태풍 버들(PODUL)이 일본 오키나와 해상을 따라 북상중입니다. 11호 태풍 버들은 중형급 세력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740km 부근 해상을 지나 시속 18km 속도로 서북서진 하고 있습니다.

     

    아래버튼 통해서 실시간 태풍 경로 확인하시고 미리 대비하세요.

     

     

     

     

     

     

    제11호 태풍 ‘버들(Podul / Will)’ 개요

     

     

    • 이름: 국제명 Podul, 한국명 ‘버들(Will)’—북한이 제출한 이름으로 '버드나무'를 의미합니다.
    • 발생 위치 및 이동 경로: 8일 오전 03시경, 괌 북쪽 약 790km 해상에서 발생 이후 서쪽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이동하며, 9일 오전에는 시속 약 6km, 강풍 반경 210km, 중심 최대 풍속 초속 21m/s로 북상 중입니다.

     

     

     

    한반도에 대한 영향 및 경로 요약

     

     

    1. 직접 영향

     

     

    직접적인 영향은 현재로선 매우 낮은 편으로 보입니다. 태풍 본체가 한반도 근처로 접근할 가능성은 작다는 예보가 다수입니다.

     

     

    2. 간접적인 영향

     

     

    • 대만 동쪽 해역까지 북상할 경우, 태풍이 몰고 오는 열대 수증기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한반도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정체전선이 활성화되어 비가 내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 특히 주말부터 남부지방에는 최대 200mm 가량의 강한 비, "광복절 전후에는 전국적인 장마(이른바 2차 우기)"가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예보에 없으나, 기상청(KMA)의 발표 및 추가 업데이트는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기압계 변화 등으로 서북 방향이 더 강하게 작용하거나, 예상 경로가 북쪽으로 치우칠 경우, 제주도나 남해안 지역에 간접적인 영향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아래버튼 통해서 실시간 태풍 경로 확인하시고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종합 요약 (한반도 관점)

     

     

    항목 내용
    이름 Podul (국제명), Willow (한국명, 의미 “버드나무”)
    국가 북한
    현재 위치 괌 북동쪽 해상, 서쪽으로 이동 중
    예상 경로 대만 상륙 → 대만해협 통과 → 중국 푸젠 상륙
    강도 경향 향후 36시간 내 세력 강화 가능성
    한반도 영향 직접적 영향은 낮으나, 경로 변화 시 간접 영향 가능성 존재

     

     

    한국 기상청(KMA)은 태풍 예보 및 위성 추적 코너 등을 통해 태풍의 추이와 해상 특보 여부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아래버튼 통해서 실시간 태풍 경로 확인하시고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대응 방법

     

     

    1. 사전 준비 (태풍이 오기 전)

     

     

    (1) 기상 정보 수시 확인

    TV, 라디오, 또는 기상청 웹사이트 등을 통해 태풍의 진로, 강도 및 예상 상륙 시점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2) 응급 대비용품 준비하기

    생수, 통조림, 라면 등 비상 식량 연고ㆍ감기약ㆍ지병약 등 구급약품, 라이터, 화장지, 물티슈 등 생활용품 손전등, 비상금, 휴대전화, 라디오, 소화기, 연락망 등

     

    (3) 집 주변 안전 점검

    지붕, 간판, 자전거 등 날아갈 수 있는 물건 고정 또는 실내로 이동 창문과 출입문에 테이프 등으로 보강해서 파손 방지

     

    (4) 배수로 및 자동차 관리

    집 주변 및 하수구의 배수로 점검 및 막힘 제거 하천이나 저지대 근처에 주차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미디어허브 5) 대피 계획 숙지 미리 대피 장소와 비상 연락 체계를 정해두세요

     

     

    2. 태풍 경보 시 행동 요령

     

     

    (1) 외출 자제 및 내부 안전 확보

    가능한 집에 머물며, 창문 가까이나 위험한 구조물 근처는 피하세요

     

    (2) 전기 및 가스 차단

    대피 시에는 수도, 전기, 가스 밸브를 잠가 2차 사고 예방

     

    (3) 위험 지역 접근 금지

    공사장, 전신주, 지하공간, 하천 또는 해안가 등 위험 구역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3. 태풍 이후 주의사항

     

     

    (1) 2차 피해 예방

    떨어진 전선이나 쓰러진 가로등 등의 위험 요소에 접근하지 마세요.

     

    (2) 식수 관리

    식수는 반드시 끓여서 사용, 물이 오염됐을 수 있으므로 주의

     

    (3) 피해 기록 및 복구

    준비 파손된 장소는 사진으로 기록해두고 보수·복구는 안전을 우선으로 하세요

     

     

    4. 지역별 추가대책

     

     

    (1) 도시 지역

    고층 건물의 경우 창문 테이프 보강, 위험 간판·옥상 접근 금지

     

    (2) 농촌 지역

    논둑 물꼬 조정, 모래주머니 통한 침수 방지, 비닐하우스 고정

     

    (3) 해안 지역

    선박 묶기, 어망·어구 안전한 곳으로 이동, 저지대 주민 사전 대피 권장

     

     

    5. 실시간 정보

     

     

    기상청 앱, 고속도로·항만·지방자치단체 태풍·특보 알림 채널 수시 확인.

    ※ 특히 해안 지역, 야외 활동, 농어촌, 교통망은 사전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1호 태풍 버들은 10일 밤 오키나와 동남 해상, 13일 대만 타이베이 동쪽 해상, 14일 중국 푸저우 해상 인근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는 1호 태풍 우딥, 2호 태풍 스팟, 3호 태풍 문, 4호 태풍 다나스, 5호 태풍 나리, 6호 태풍 위파, 7호 태풍 프란시스코, 8호 태풍 꼬마이, 9호 태풍 크로사, 10호 태풍 바이루, 11호 태풍 버들이 발생했습니다. 지난해에는 1호 태풍 에위니아, 2호 태풍 말릭시, 3호 태풍 개미, 4호 태풍 프라피룬, 5호 태풍 마리아, 6호 태풍 손띤, 7호 태풍 암필, 8호 태풍 우쿵, 9호 태풍 종다리, 10호 태풍 산산, 11호 태풍 야기, 12호 태풍 리피, 13호 태풍 버빙카, 14호 태풍 풀라산, 15호 태풍 솔릭, 16호 태풍 시마론, 17호 태풍 제비, 18호 태풍 끄라톤, 19호 태풍 바리자트, 20호 태풍 짜미, 21호 태풍 콩레이, 22호 태풍 인싱, 23호 태풍 도라지, 24호 태풍 마니, 25호 태풍 우사기, 26호 태풍 파북이 발생했습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시간대별 상세 예보를 참고하셔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미리 대비하실 것을 권합니다.

     

    아래버튼 통해서 실시간 태풍 경로 확인하시고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
    11호 태풍 버들 뜻, 현재 경로, 영향, 대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