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8월 25일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에 대해 긍정, 부정 평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시간 없으신 분들은 아래 버튼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국제 반응

     

     

    긍정적 평가

     

     

    1. 언론 및 외교 전문가들은 회담이 예상보다 원만하게 진행되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2. 로이터는 “이 대통령이 ‘젤렌스키식 장면’을 가까스로 피했다”라고 전하며, “두 정상은 친근하고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3. AP는 이 대통령의 외교적 유연성을 강조하며, 트럼프의 돌발성 발언에도 불구하고 회담이 원활히 마무리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4. Atlantic Council 전문가들은 회담이 방위 산업 협력, 특히 조선 분야 협력을 강조했다는 점을 주요 성과로 꼽았으며, 두 정상의 ‘평화메이커–페이스메이커’ 역할론이 주목받았다고 평가했습니다.

     

     

    비판적 / 우려 섞인 반응

     

     

    1. 현안의 불확실성: Atlantic Council은 미군 주둔 비용, 병력 재배치, 전략적 유연성 등 핵심 사안에 대한 합의가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향후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2. 근본적 이슈 미해결: Reuters는 미군 주둔 비용 문제 등 구체적인 정책 논의가 계속 진행 중이며 실질적인 합의가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3. 전문가 분석: FT는 회담이 ‘북한 문제 해결력’에 대한 의문을 남겼으며, 이 대통령의 대북 정책 신뢰성에 대한 미국 내 의구심이 여전함을 지적했습니다.

    4. 외교적 변수: AP는 트럼프의 일방주의적 성향이 한국과 일본을 긴밀히 만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한-일-미 간 삼각 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5. 중국과의 균형 시도: Reuters는 한국이 미국 외교와의 균형을 이루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중국과의 경제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음을 주목했습니다.

     

     

     

    한국 내 반응

     

     

    긍정적 평가

     

     

    1. 외교 안정 유지: 이 대통령은 회담 전 트럼프의 SNS 비난에도 불구하고 “동맹에 상처를 주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으며, 실제로 회담이 드라마 없이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2. 외교적 수완: AP는 이 대통령이 오벌오피스 장식 칭찬, 미 경제 언급 등의 외교적 수사로 분위기를 부드럽게 조성했다고 전했습니다.

    3. 전략적 유연성: Atlantic Council 분석은 이 대통령이 북핵 문제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존중하며 협력 구조 유지를 선택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비판 및 우려

     

     

    1. 세부 합의 미흡 – ‘총론은 만족, 각론은 공백’

    (1) 조선일보는 “큰 고비는 넘겼다”면서도 “구체적인 이슈에 대한 정리가 없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했습니다.

    (2) 경향신문은 공동합의문 부재 및 구체적인 합의 부족을 ‘한계’로 꼽으며, 후속 실무 협상에서 국익을 어떻게 지켜낼지가 과제로 남았다고 평가했습니다.

    (3) 동아일보 역시 “주한미군 역할 조정 같은 민감 현안이 다뤄지지 않았고, 공동선언도 없었다”며 외교적인 뒷심 부족을 강조했습니다.

    (4) 한겨레는 “총론은 만족스럽지만 각론에서 문제가 많았다”며, ‘트럼프 리스크’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외교 환경임을 지적했습니다.

     

    2. 안보 공백 우려: 전략적 유연성 이슈(예: 대만 유사시 역할 등)에 대한 한국 내 우려가 높으며, 미국의 요구에 대한 지나친 수용이 안보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요약정리

     

     

    구분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국제적 반응 외교적 안정 유지, 우호적 분위기,
    방산 및 무역 협력 기대
    핵심 사안 미확정, 전략 공백,
    미국의 일방적 요구에 대한 불안
    한국 내 반응 외교적 수완, 동맹 관계 유지,
    북핵 접근에서 유연한 태도 인정
    실질 합의 부족, 안보 리스크 존재,
    전략적 유연성 수용에 대한 국민 우려

     

     

    요약하면 한국 언론은 회담 분위기와 외교적 수완은 인정하면서도, 핵심 현안의 부재, 극우 발언을 통한 외교 리스크, 주권적 민감 이슈를 두고 깊은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아래 버튼 클릭하시면 한미정상회담 라이브 다시 보기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
    2025 한미정상회담 국제 반응 및 국내 평가